다양한 심리학 분야 파생에 대한 이해와 훑어보기
철학에 뿌리를 둔 심리학은 사람 마음에 대한 영역을 사고의 수준에서 과학을 접목해 확장한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심리학은, 많은 철학자가 펼쳤던 주장이 아닌, 눈에 보이지 않는 사람의 심리를 실험과 증명을 통해, 이론화할 수 있는 수준까지 끌어올린 것이다.
심리학은 심리이기에 사람의 내면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습관이나 행동, 뇌의 구조나 호르몬 등과 같은 사람과 관계된 모든 갈래를 포함하고 있다.
그렇기에 심리학의 분야는 매우 다양하다.
사람, 사회, 삶에 관계된 웬만한 분야 뒤에 심리학을 붙일 수 있으며, 해당하는 학문이 모두 심리학의 하위 분과가 될 수 있다.
‘Psychology is multidisciplinary field with different segments employing irreconcible(irreconcilable) orientation.
심리학은 방향성이 전혀 다른 다양한 분야들로 이루어진 학문이다.’
위의 설명은 심리학의 특징을 잘 표현하고 있다.
사람과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주제, 인간이 주체가 되어 조작하는 활동 등에 심리학을 달면 심리학의 세부 분야가 된다.
스포츠심리학, 범죄심리학, 학습심리학, 사회심리학, 산업심리학, 생리심리학, 인지심리학, 성격심리학처럼 익숙한 분야도 있지만, 미디어심리학, 인터넷심리학, 실험심리학, 행동수정심리학, 연극치료심리학 등 심리학은 넓은 영역에 걸쳐있다.
심리학, 심리 상담 상관 관계
여러 심리학 분야를 살펴본 이유는, 심리학이 펼쳐져 있는 분야에서 상담 또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둘은 성격이 다르지만, 완전히 분리될 수 없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심리 상담이 아닌 경우에는 본인이 원하는 방향의 전문성을 띤 상담가를 찾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상담하는데 상담가와 뭔가 맞지 않는다고 느낀다면, 개인 대 개인이므로 성향이 다를 수도 있고, 상담가의 바탕이 되는 이론이나 분야가 맞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심리학을 전공으로 선택할 때도, 문·이과뿐만 아니라 자신이 공부하고 싶은 세부 전공을 염두에 두는 것이 낫다.
심리학 전공자 중, 이과적 성향이 강함에도 문과에 속한 대학을 선택하고 후회하는 사례를 종종 마주했다. 이와 반대로, 이과에는 관심이 하나도 없는데, 통계나 생리학과 같은 분야를 학습하고 익히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도 있다.
따라서 심리학을 공부하고 그와 관련된 직업을 갖고 싶다면, 세부 전공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좋다.
심리학이나 상담에 대한 내용은 앞으로 하나씩 풀어가겠다.
포스팅하는 주제 이외에 관한 문의 사항은 메일을 통해 할 수 있다.
심리학 정의 & 심리 상담에 대한 고찰
대학 첫 수업 때, 교수님께서 심리학의 정의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학생들에게 질문했다. 다양한 답변이 나왔지만, 마음에 썩 드시지 않았던 모양이다. 본인이 한 줄 정리를
you-are-just-you.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