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의 개념과 이해, 강화와 보상의 차이 및 유의점
석사 시절 강화/보상과 처벌의 개념과 처벌과 체벌의 차이 및 체벌의 불필요성과 각 요소가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제로 프레젠테이션을 했다. 발표 후, 질문을 받으며 처벌, 체벌, 강화/보상의 개념과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한다는 사실에 좀 놀랐다. 처벌과 체벌, 강화와 보상을 동일시하거나, 강화/보상과 처벌을 혼동하는 등, 기본적인 부분의 정립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양한 교수법과 학습 지도법이 알려지며, 지금은 이런 개념에 대해 예전보다 뚜렷하게,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노파심에 강화/보상, 처벌, 체벌의 개념, 처벌과 체벌 및 강화와 보상의 차이를 행동주의 학파인 스키너(Burrhus Frederic Skinner)의 이론을 바탕으로 정리..
2021. 8. 19.
[영화 리뷰] 인간 본성(성선설/성악설/성무선악설), 모성애, 그리고 영화 크루엘라
영화 크루엘라에 대한 리뷰에 이어, 이 영화를 통해 생각해본 바에 대해 집중적으로 이야기하고자 한다. 영화 크루엘라의 두 엄마를 비춰 바라본 모성애 남작 부인 바로네스(엠마 톰슨)는 자신을 너무나 사랑하여, 자식인 에스텔라(크루엘라, 엠마 스톤)가 태어나자 자신의 세상이 무너진다 여겨 극단적인 선택을 한다. 누군가는 잔인하다 할 수 있고, 또 누군가는 이해할 수 있을 수도 있다. 모성애가 본능인지, 길러지는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여성의 본능이라고 강조하고 강요하며, 무조건적인 양육과 애정을 억지로 요구할 수는 없다. 사람이 상황, 입장, 신체적 변화 등을 받아들이는데 연습과 시간이 필요한 것이 당연하기에, 엄마가 되는 것 또한 같은 맥락이리라. 충분히 시간을 들여, 자신의 변화와 자신이 품고 있는 새..
2021. 7. 13.